서울 중랑구 신내동 새한아파트 김재원

조선 초 맹사성(孟思誠)은 열아홉의 어린 나이에 장원급제를 하고, 스무 살에 경기도 파주 군수가 돼 자만심으로 가득 차있었다. 맹사성이 어느 날 무명선사를 찾아가 물었다. “스님이 생각하기에 이 고을을 다스리는 사람으로서 최고로 삼아야 할 좌우명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오?” 그러자 무명선사가 대답했다. “그건 어렵지 않지요. 나쁜 일은 하지 말고 착한 일을 많이 베푸시면 됩니다.” “그런 건 삼척동자도 다 아는 이치인데 먼 길을 온 내게 해 줄 말이 고작 그것뿐이요?” 맹사성이 거만하게 말하며 자리에서 일어나려 했다. 무명선사가 녹차나 한 잔 하고 가라며 그를 붙잡았다. 맹사성은 못 이기는 척 자리에 앉았다. 그런데 스님은 찻물이 넘치도록 찻잔에 자꾸만 차를 따르는 것이 아닌가.

“스님, 찻물이 넘쳐 방바닥을 망칩니다” 맹사성이 소리쳤다. 하지만 스님은 태연하게 계속 찻잔이 넘치도록 차를 따르고 있었다. 그리고는 잔뜩 화가 나 있는 맹사성을 물끄러미 쳐다보며 말했다. “찻물이 넘쳐 방바닥을 적시는 것은 알고 지식이 넘쳐 인품을 망치는 것은 어찌 모르십니까?”

스님의 이 한마디에 맹사성은 부끄러움으로 얼굴이 붉어져 황급히 일어나 방문을 열고 나가려고 했다. 나가다가 그만 문틀에 머리를 세게 부딪치고 말았다. 그러자 스님이 빙그레 웃으며 말했다. “고개를 숙이면 부딪치는 법이 없습니다.”

이 일로 인해 맹사성은 고개 숙이는 법을 배웠고 진리는 평범한 말속에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 맹사성은 지위가 올라갈수록 겸손하고 성실한 마음으로 백성들을 다스리기 시작했다. 집에 벼슬이 낮은 사람이 찾아와도 복장을 갖추고 예의를 다해 맞이했으며 손님에게는 반드시 상석을 내줄 정도로 자신을 낮췄다. 겸손한 마음으로 선정을 펼친 맹사성은 세종 때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까지 이르게 됐다. 겸손과 청빈으로 공직을 수행한 맹사성은 황희와 함께 조선 최고의 재상으로 추앙받고 있다.

사람은 함께 살도록 만들어졌으며, 함께 산다는 것은 공동체를 이루고 산다는 것이다. 가족은 가장 기본이 되는 인적공동체이며, 우리가 살고있는 아파트는 작은 규모의 지역공동체다.

공동체 안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생활한다. 우리 아파트만 해도 500세대 정도 되니 줄잡아 15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살고 있다. 여기에는 맹사성 같은 사람도 있을 것이고 무명선사 같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교만한 마음으로 상대방을 대하면 머리가 문틀에 부딪칠 것이요, 겸손한 마음으로 대한다면 품위 있는 사람이라 인정받을 것이다. 공자(孔子)는 논어(論語)에서 이렇게 썻다.

三人行必有我師焉 (삼인행필유아사언)
擇其善者而從之 (택기선자이종지)
其不善者而改之 (기불선자이개지)

여러 사람이 같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내 스승이 있다. 좋은 점은 가려서 좇고, 좋지 않은 점은 고치면 된다.

매주 화요일은 우리 아파트 재활용품을 분리수거 하는 날이다. 오후 5시가 되면 분리수거장은 시골 장터 같다. 재활용품 중에서 플라스틱 제품과 투명 페트병은 구분해 따로 모아야 한다. 그러나 이것저것 구분하지 않고 마구 버리는 경우도 가끔 보인다. 이런 와중에 경비 아저씨들 틈에서 묵묵히 투명 페트병을 골라내는 아주머니 한 분을 본다. 나는 그 입주민이 누군지 자세히 알지 못하지만 그분으로부터 아름다운 공동체를 만들려는 선한 마음을 배운다.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