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매우 독특한 작품을 만났다. 식물이 주인공인 소설? 이 책을 읽고 난 느낌은 마치 ‘모스바나’라는 식물이 주인공 같다는 것이다. 약간은 먼 미래, 온난화로 인해 ‘더스트폴’ 현상이 벌어지며 인류의 삶뿐 아니라 지구의 생태가 바뀌었다. 더스트는 살아있는 모든 생명체에 죽음을 가져오는데, 인간들은 살아남기 위해 돔을 만들어 생존을 유지하려 하지만 이 돔에 들어갈 수 있는 사람들은 힘 있는 자들이다.

더스트에 내성이 있는 이들은 돔 밖에서도 생명을 연장해 가지만 이 파멸적인 환경에서 얼마나 더 살아갈 수 있을지 모른다. 더스트 시대가 끝나고 다시 회복과 재건을 해가는 시기에 주인공인 ‘아영’은 더스트 생태연구소 연구원으로 일하게 된다. 해월이라는 폐허 지역에 ‘모스바나’라는 넝쿨 식물이 테러하듯 자라고 있다는 사실에 조사에 참여하는데 ‘모스바나’에서 신비한 푸른 빛을 보고 어린 시절 유사한 현상을 봤던 기억을 해낸다. 아영의 어린시절 집 근처에 한 할머니(이희수)가 살고 있었다. 아영은 우연히 그 집을 방문한 적이 있다. 아영이 그 집 마당에서 본 그 덩굴이었다. 그 덩굴에서 푸른빛을 봤던 것이다.

‘모스바나’가 테러라고 인식된 것은 그 유전자가 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 같다는 특성 때문이다. ‘모스바나’와 덩굴에서 본 푸른빛을 추적하던 중 비슷한 걸 봤다는 ‘나오미’를 만나게 된다. 나오미와 그의 언니는 돔에 들어가지 못한 유랑민으로 살 곳을 찾아 헤메다 식물이 자라고 있는 ‘프림 빌리지’에 들어가게 된다. 이곳은 인위적으로 조성된 곳으로 이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철저하게 외부인을 터부시한다.

그곳에서 온실에서만 살고 있는 식물학자 ‘레이첼’과 엔지니어인 ‘지수’를 만나게 된다. ‘프림 빌리지’는 레이첼 덕분에 재배할 수 있는 작물을 얻어 농사도 지으며 자급자족 경제 생활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결국 외부인에게 발각돼 ‘프림 빌리지’가 파괴되면서 더스트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종자를 들고 뿔뿔이 흩어지게 되고 나오미도 언니와 탈출하게 된다. 아영은 나오미가 어린시절 ‘프림 빌리지’에서 만났던 그 할머니와 동일 인물이 아닐까 추측하게 되고 해월 인근 노인요양센터에서 그녀의 마지막 흔적을 찾게 된다. 할머니가 남긴 기록엔 지수가 점차 사이보그로 변해가는 레이첼과 처음 만난 기억, 레이첼과 다시 만나 ‘프림 빌리지’를 만들게 된 경위, 레이첼을 설득해 더스트에서 생존할 수 있는 종자를 만들어 사람들을 어떻게 대피시킬 수 있었는지 그리고 레이첼과 지수와의 미묘한 관계 등을 알 수 있었다. 더스트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재앙이 아닌 레이첼이 속한 연구소의 실험으로 인한 인간이 만든 재앙이었다.

더스트는 인간들의 노력으로 종식이 되지만 아영의 끈질긴 추적을 통해 사실은 더스트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던 건 레이첼이 만들어 준 ‘모스바나’를 전 세계 곳곳에 심으면서 그 번식으로 인한 것임이 밝혀진다. 전혀 관련이 없을 것 같은 인물들의 연결에서 공통 분모는 모스바나라는 덩굴 식물이다. 아영이 봤던 신비한 푸른 빛은 초기 유전자 형태를 유지했던 모스바나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그 이후엔 이 형질이 사라져갔다. 그 기억의 연결이 모스바나를 둘러싼 거대한 미스테리를 치밀하게 파헤쳐 갈 수 있는 계기가 됐던 것이다. 어느새 독자들도 ‘모스바나’의 왕성한 번식력처럼 모스바나에 칭칭 감겨지는 듯한 느낌을 받게 한다.

이 소설은 김초엽이라는 여류작가의 첫 장편소설로 특이하게도 학력이 포항공대 생화학 석사라고 나와 있다. 그래서인지 작품 속에 일부 묘사는 과학적으로 매우 전문적이라는 느낌이 들었던 것 같다.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