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비중이 우리나라 전체의 75%를 넘었다. 공동주택 관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의 중요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도 날로 커가고 있다. 기대 수준도 높아지고, 관리 서비스 품질에 대한 요구도 다양해지고 있다. 얼마만큼 잘 관리하느냐에 따라 아파트의 수명도 길어지고, 국민들의 삶의 질 역시 높아질 수 있다.

그 중심에 주택관리사가 있다. 주택관리사는 국가가 공인한 전문직업인이다. 아파트 등 건물과 부대시설 및 복리시설을 안전하게 유지, 보수 등을 총괄해서 관리하는 업무를 맡는다.

우리나라는 공동주택관리법에 따라 300세대 이상이거나 승강기 설치 또는 중앙난방 방식의 150세대 이상 공동주택은 무조건 주택관리사를 두게 돼 있다. 이 중 500세대 미만의 아파트에는 주택관리사를 갈음해 경력이 충족되지 않은 주택관리사보를 해당 아파트의 관리소장으로 배치할 수 있다.

현장에서는 더 많은 경험과 전문성이 있는 주택관리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주택관리사의 대다수가 관리소장으로 일하고 있지만 이들의 영역이 관리소장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관리사무소에서 또 다른 역할도 맡기도 하고, 공무원, 공공기업, 관리회사 등 다양한 관리 분야에서 종사하고 있기도 하다.

1987년 주택건설촉진법 개정에 의해 주택관리사 제도가 처음 도입됐다. 그리고 1990년 제1회 주택관리사(보) 합격자를 배출한 날을 기념해 ‘주택관리사의 날’이 제정됐다.

마침 지난 28일이 28번째로 맞는 ‘주택관리사의 날’이었다. 이에 앞서 국회에서 ‘주택관리사의 날’을 함께 축하하며, 대한주택관리사협회 주관 하에  ‘공동주택 관리 패러다임 혁신’ 주제의 토론회가 열렸다. 주택관리사의 직업적 긍지를 높이고 공공성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이날 토론회에서도 공동주택이 늘어나고 보편화될수록 건설만큼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과 공감이 있었다. 공동주택 관리를 둘러싼 공적기능의 중요성과 주택관리사의 역할 확대에 참석자들의 의견이 집중되기도 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과 함께 정부조직 확대 필요성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공동주택 관리를 전담할 ‘과’조차 없는 현실에 대한 개선도 주문했다.

현재 주택관리사를 둘러싼 대내외 환경이 녹록치 않다. 역할 확대도 중요하지만 개별적인 고용불안과 열악한 근로환경 등은 큰 문제다. 주관협 등에선 특히 주택관리사의 공급과잉을 구조적 문제로 인식하고, 중장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배출된 인원보다 훨씬 적은 일자리 때문에 항상 처우가 기대에 미흡하고, 고용도 안정적이지 않다는 지적이다. ‘갑질 논란’이 자주 불거질 만큼 거친 근무 환경도 문제다. 한 주택관리사는 “아파트 단지가 크고 작고는 업무량에 큰 차이가 없다”며, “주민들 사이에 분쟁이 없고 평화로운 곳이 일하기에 좋은 곳인데 그런 단지를 만나는 것은 의지와 관계가 없기에 더욱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아무쪼록 전문직업인으로서 주택관리사들의 역할이 확대되고, 그들이 긍지와 보람을 가질 수 있는 환경과 존중받는 풍토가 빠르게 조성되길 바란다. 아울러 이를 위해 이들을 보호하고, 재교육 등을 지원할 대한주택관리사협회, 한국주택관리협회 등 관리주체 단체들의 상호협력과 역할분담이 강화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