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의 공동주택은 도시화, 고층화, 첨단화로 점점 더 전문화된 관리를 요구한다. 전문화된 관리를 통해 공동주택의 장수명화가 가능하다. 또한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위해서는 입주민의 신뢰를 받아야 한다.

공동주택 관리의 전문화와 선진화를 모토로 한 (사)한국주택관리협회가 창립된 지도 벌써 26년이 넘었다. 1987년 서울시 공동주택관리인협의회로 첫발을 디딘 후 1989년 한국공동주택전문관리협회로 모습을 드러냈고, 그로부터 20년이 지난 2009년, 지금의 ‘한국주택관리협회’로 거듭났다. 그동안 12회의 회장을 거치며 유일한 사업자 단체로 성장했다. 그리고 지난달 24일 13대 회장을 선출했다. 16일에는 신·구 회장 이·취임식을 갖고 대·내외적으로 본격적인 출범을 알렸다.

지난 정기총회에서는 한주협의 입지와 역할에 대한 위기의식이 반영됐다는 중론이다. 그만큼 열기가 뜨거웠다.

한주협이 경선을 통해 회장을 선출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회장 선거에 나타난 의미를 한 마디로 하자면 ‘강한 리더십’에 의한 불합리한 제도 개선과 중소업체와의 상생을 바라는 분위기였다.

협회는 지금껏 주요 정책 반영을 위해 목소리를 높였다. 이룬 것도 많지만 아쉬웠던 것도 사실이다. 그렇기에 새 집행부에 거는 기대가 자못 크다. 새롭게 출범하는 한국주택관리협회 앞에 펼쳐진 길은 비단길이 아니다. 험난한 가시밭길에 가깝다. 풀어야 할 숙제들이 쌓여 있다. 굵직하게 떠오르는 과제만도 줄줄이다.

먼저, 주택관리업의 육성·발전을 위한 법규와 제도의 개선이다. 특히, 공동주택관리법과 관련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한 ‘주택관리업자 및 사업자 선정지침’도 재고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사적자치’의 자율성을 훼손하는 획일적인 사업자 선정지침을 철폐해야 한다는 얘기다. 과태료 부과에 대한 볼멘소리도 많다. 모두 개선돼야 한다. 아파트 관리의 기저에는 ‘사적자치’라는 큰 대의가 있다. 이를 훼손하고 무분별한 공적 개입이 있어서는 안 된다.

협회의 법정단체 진입도 중요하다. 아파트 관리의 가장 주요한 주체를 빼고 정책을 입안·집행할 수는 없다. 이 상황이 장기화되는 것은 정책 당국으로서도 큰 부담이다. 당국의 협조가 시급한 일이다.

공동주택에 대한 부가세 과세논란과 부당 과태료 남발 등도 문제다. 이외에 주택관리 사업자와 관리소장들 그리고 관리업무 종사자들의 직무교육도 해야 한다. 선진국 아파트 전문관리 업체와의 국제적 교류 및 연수를 통해 벤치마킹도 서둘러야 한다.

노병용 신임회장도 “협회 및 공동주택 관리업계의 발전을 위해 불합리한 제도개선에 적극 나서겠다”고 취임 일성으로 밝힌 바 있다. 제도 개선을 위해선 공동주택 관련 주요 파트너인 대한주택관리사협회, 입주자대표회의연합회 등 관련 단체들과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 관리 분야 각 주체들은 협력 속에 견제와 균형을 이뤄야 한다.

합리적 협회 운영과 회원사들의 화합도 빼놓을 수 없다. 노 회장은 “회원들이 서로 상생하고 화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협력방안을 적극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회장 선거의 라이벌들이 다시 힘을 합쳐 새 집행부를 구성함으로써 명실상부하게 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토대가 만들어졌다.

‘노병용호’가 난관의 파도를 잘 헤치고 순항할 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