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 연구방법 및 범위
연구 방법은 기존 연구 고찰 등을 통해 조사도구(설문지)를 개발, 서울에 거주하는 아파트 주민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실시했다.
조사 시기는 2011년 4월~5월에 걸쳐 실시했으며,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150부 배부했는데 유효 분석 자료는 123부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 백분율, One-way ANOVA, t-test, DM R검증, 신뢰도 검증, 요인분석, 다중회귀 분석 등의 통계 분석을 실시했다.
설문지 문항의 신뢰도는 Cron bach’s α 값으로 내적일관성을 검토한 결과 모두 0.75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성이 검증됐다.

2. 이론적 배경
2.1 아파트 공동체 개념
‘공동체(Community)’에 대한 연구는 19세기 이후 한 사회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제시하려는 노력의 맥락에서 주로 사회학 분야에서 많이 다뤄지고 있다.
Hillery(1995)는 공동체 개념에 대한 정의는 지리적 영역, 사회적 상호작용, 공동의 유대감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보면서 공동체는 어떤 지리적 영역 안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며 한가지 이상의 공동의 유대를 가지는 사람들로 이뤄져 있고 또한 인간의 기본욕구를 충족시키면서 이러한 욕구충족을 공동으로 추구하고 욕구충족의 조건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공유가 필요조건이 된다고 했다.
또한 단순한 지역의 공유만으로는 공동체가 될 수 없고, 거기에는 하나의 공동체가 되기에 충분한 접촉과 참여, 공동 이익과 공동 선을 추구하는 사회관계가 전제돼야 하므로 공동체의 필요충분조건은 ‘공동생활과 공동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박광재 외 2인,2001).
천현숙(2001)은 공동체(커뮤니티) 개념을 특정 지역 내의 구성원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에 대한 유대감과 소속감을 공유하면서 다른 커뮤니티와 구분되는 독자적 특징을 갖고 스스로를 유지하고 재생산하는 능력을 갖춘 사회집단으로 정의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대 도시 주거유형으로 일반화된 아파트 공동체는 아파트 단지라는 물리적인 공간속에서 주민들 상호간의 유대감 및 소속감을 공유하고 공동생활의 참여를 통해 공동의식이 형성됨으로써 아파트 단지에 대한 애착과 자부심을 갖추게 되는 사회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2.2 공동체 의식과 구성요소
공동체 의식의 이론들 중 Mc Millan & Chavis(1986)는 “공동체의식이란 구성원이 소속감을 가지며 구성원이 타인이나 그룹의 일부라는 느낌, 그리고 구성원의 요구는 함께이기 위한 그들의 헌신을 통해 충족될 것이라는 공유된 믿음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라영, 신남수(2009)는 McMillan 등의 공동체 의식에는 공동체 참여의식에 대한 고려가 부족함을 지적하면서 공동체 의식을 “개인이 그 공동체에 속하며 공동의 운명을 지닌다는 인식하에 같이 사는 이웃들과 밀접한 상호작용을 통해 연대의식을 가지며 공동체 안에서 자기의 욕구를 충족하며 공동체 활동 참여에까지 이르게 돼 결국 장소에 대한 애착을 느끼게 되며 지속적으로 정주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한편 공동체의식의 구성요소에 관해서 McMillan & Chavis(19 86)는 구성원 의식, 영향의식, 욕구의 충족과 통합, 공유된 정서적 친밀감 등의 4가지 구성요소를 제안했으며 국내 연구에서는 김광복, 남진(2005)이 구성원 의식, 상호영향 의식, 정서적 연대감으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이라영(2009)은 개인과 공동체와의 관계에 의한 ‘개인의 귀속의식’, 개인과 다른 개인과의 관계에 의한 ‘타인과의 유대감’, 개인의 공동체에 대한 평가에 해당되는 ‘공동체에 대한 만족감’, 개인의 자발성 및 역할의식에 해당되는 ‘참여의식’, 그리고 장소에 대한 애착 및 지속적 정주에 해당되는 ‘장소 정주성’의 5가지 요소를 제시했다.

강순주 교수
건국대학교 건축학부 주거환경전공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