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전략적 틈새, 공동체에너지’

조은별 씨, 논문서 주장

[아파트관리신문=고경희 기자] 에너지 시스템의 환경 등 문제를 해결하고 재생에너지의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공동체에너지’ 활성화를 위해 중간지원조직 연계·교육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조은별 씨는 최근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전략적 틈새, 공동체에너지 - 아파트 미니태양광 전 세대 공동 설치 사례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석사학위 논문을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조은별 씨는 이번 논문에서 “기존 에너지 시스템의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고 재생에너지 활성화 정책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으로 에너지자립마을 등 ‘공동체에너지’가 주목받고 있다”며 “하지만 국내에서는 공동체에너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고 그 유형 또한 에너지협동조합, 에너지자립마을 등으로 한정돼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고 밝혔다. 이에 조 씨는 공동체에너지 사례를 분석해 관련 연구에 힘을 싣고자 했다.

조 씨는 “공동체에너지가 틈새로 발전할 수 있도록 중간지원조직과의 연계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논문에 따르면 동대문 마을넷이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을 했다. 동대문 마을넷을 통한 전문가 연계, 에너지자립마을 사업 활동 지원으로 공동체에너지 내연과 외연을 강화하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 씨는 “중간지원조직의 중요성은 이전 에너지 전환과 관련된 문헌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다. 이 연구에서 본 공동체에너지 사례에서는 환경적 동기와는 다소 먼 경제적 동기로 사업을 시작했다”며 “에너지 전환의 목표와 결을 같이 하는 비전과 목표를 형성해 나가는 데 관련 중간지원조직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공동체에너지 외부의 네트워크 존재의 중요함과 공동체에너지와 네트워크 간의 상호호혜성을 강조, “지역성을 기반으로 네트워킹을 하거나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정부가 제공할 수 있다”며 “공동체에너지와 지역단체가 함께 모여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포럼 등이 가능하다”고 봤다.

이와 함께 2차 학습을 위한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동체에너지가 활용하는 재생에너지 기술, 설비 등에 대해 구성원에게 환경적인 효과가 더 강조돼 보여야 한다며 환경적 메시지를 이용한 교육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에너지자립마을과 같은 후속 사업을 하지 않는다고 해도 2차 학습을 위한 정보와 교육의 전달이 필요하다”며 “이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재생에너지의 필요성, 미니태양광을 사용해 절감한 전력량 및 전기요금의 모니터링 및 전시 등으로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 씨는 “2차 학습을 위한 환경 조성은 체감 상 적은 미니태양광의 경제적 효과 또한 보완할 수 있다. 현재는 가구당 월별 전기요금 고지서를 통해 경제적 효과, 혹은 미니태양광의 에너지 생산 효과를 알 수 있다”고 서술했다.

논문에서는 미니태양광 패널 용량이 260~300W인 것을 고려하면 일조량이 적은 공간 등에서는 에너지 생산량 및 경제적 혜택을 체감 상 적게 느낄 수 있어, 공동체에너지 구성원 개인이 에너지 전환의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미니태양광의 에너지 생산이 에너지 전환에 기여하는 바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에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전환은 그 규모에 따라 개인과 정서적 거리감을 조성하고 개개인의 노력이 무익하다고 과소평가할 수 있어 전체의 전기사용량 절감 및 그에 따른 요금절감을 가시성이 좋은 공간에 전시하는 등의 노력과 에너지 전환의 필요성,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공동체에너지로서 에너지 전환에 기여하는 정도 등을 공동체 구성원에게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기존에 없던 창의적 혁신을 개발한 공동체에너지가 가진 파급력을 제한하지 않도록 정책적 수용과 지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