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전염병에 대한 대응이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 지난달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발병한 이후 한달이 지나고 있는 현재 메르스 환자는 3차 전염을 넘어 4차 전염자가 나오고 있다. 4차 전염의 위험은 통제가 가능한 3차 전염과는 현격히 달라 질병관리본부의 힘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서 감염자가 발생할 수 있다. 이제는 지역사회와 국민 개개인이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개인위생에 전념해야 할 때다.

지역사회 감염이 의심되는 사례가 나오고 있기는 하지만 지역사회 감염이라고 단정짓기에는 무리가 있어 감염을 통제할 수 있다는 희망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처음 메르스 확진 환자가 나왔을 때 전염병을 너무 미온적으로 판단해 철저히 통제를 못했던 실수가 있었기에 이번에는 최대한 폭넓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지역사회 감염을 막아야 한다.

지난 4일 박원순 서울시장이 메르스 35번 환자가 지역행사에 참여한 것을 우려해 기자회견을 통해 메르스 전파를 철저히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던 것처럼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지금 폭넓은 대응으로 지역사회 감염을 막아야 한다. 다행히 35번 환자가 참석했던 지역행사 참가자 중에 감염 사례가 나오지 않아 한시름 덜기는 했지만 신종 전염병에 대한 조심은 철저를 기하는 것이 상식이다.

전 세계적으로 메르스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만큼 우리나라의 메르스 확산은 수많은 변수를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중동에서 발생했던 메르스와는 달리 양상이 다른 환자 상태가 나타나기도 하고 전염력도 기존보다 달리 높이 나오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와 중동국가의 문화적 차이, 생활환경의 차이가 있기에 메르스가 다른 양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자료만 믿고 전염병에 대한 기본적인 대응이 미흡했던 지난 시간이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이제라도 더 큰 확산을 막기 위한 철저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까지 해왔던대로 정부는 메르스 확진자에 대한 치료에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고 더 이상 격리 대상자를 누락시켜 감염을 확산시키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지역사회 감염을 막기 위해 아파트 관리사무소와의 공조를 확고히 하는 방안을 준비해야 한다.

전 국민의 과반수가 살고 있는 공동주택에 관리사무소는 입주민의 위생과 안전을 책임지는 최전방의 보루라 할 수 있다. 이곳에서 메르스 확산을 막는 준비는 반드시 필요하다. 메르스가 입주민들에게 전파되지 않도록 위생장비를 갖추는 것부터 시작해서 만약의 사태가 발생했을 경우 방역을 하는 것까지 정부는 각종 지원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현재 대부분 아파트에서는 메르스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관리사무소에서 할 수 있는 홍보를 강화하고 있고 각 동 출입구에 손 소독제를 구비해 배치해놓기도 했다. 또한 공동주택 관리 관련 업체들도 지역사회 감염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만들어 준비하고 있다.
이렇듯 공동주택과 관련한 많은 사람들과 단체들이 준비를 철저히 하는 만큼 메르스에 대해 과민한 공포를 가질 필요는 없지만 만약이라는 가정을 흘려버리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정부와 지자체는 국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게 메르스에 대해 더 적극적인 준비를 해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