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고 긴 광산의 역사와 함께한 광명동굴

[주말에 가볼까?] 480. 경기 광명시

2025-07-08     문일식
광명동굴 내 웜홀광장

도심 속 동굴 테마파크 광명동굴은 광명시의 랜드마크이자 ‘2017 한국관광의 별’ ‘2021~2022 한국관광 100선’에 이름을 올린 명소다. 가학산에 자리 잡은 광명동굴은 연간 100만명 이상 다녀가는 곳인 만큼 주차장이 매우 넓다. 동굴 입구와 가장 가까운 곳은 광명시자원회수시설과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주변에 있는 제1주차장이다. 동굴 입구까지 완만한 길(15분)과 계단으로 오르는 가파른 길(5분)로 나뉜다.

광명동굴은 역사가 100년이 넘는다. 1903년 시흥광산으로 설립했다는 기록이 있고 1912년 일제가 광산을 개발하면서 징용과 수탈의 현장이 됐다. 광복 이후 폐광하기까지 금, 은, 동, 아연 등을 캤고 전성기에는 하루 채굴량이 250t 이상이었다고 한다. 한국전쟁 때는 피란처로 쓰이기도 했다. 광명동굴은 1972년 대홍수로 광물 찌꺼기가 쓸려 내려가면서 토양오염과 보상 문제로 문을 닫았다. 폐광은 인천 소래포구에서 나온 새우젓 보관·숙성 창고로 사용됐으며 광명동굴 이름이 붙은 새우젓이 팔리기도 했다. 2011년 광명시가 동굴 토지를 매입하고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더해 관광지로 거듭났다.

지하1레벨로 내겨가는 계단사진

​광명동굴은 깊이 275m, 갱도 길이 7.8km에 이르고 1레벨(갱도의 층수, 해발 180m)부터 지하7레벨(지하 95m)까지 총 9레벨로 구성된다. 개방 공간은 2km로 0레벨(해발 102m)부터 지하1레벨 일부다. 입구에 서면 동굴 안쪽 깊은 곳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맞이한다. 길 이름도 바람길이다. 바람 따라 광부들의 곡괭이질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100m쯤 걸으면 웜홀광장이 나온다. 치렁치렁 늘어진 꽃 조형물과 장식품, 은근한 조명이 어울려 포토 존 역할을 한다. 빛의공간은 더 화려하다. 발광다이오드(LED) 조명과 뉴미디어 기법으로 아름답게 반짝인다.

동굴예술의전당은 국내에 유일한 동굴 공연장이다. 350석 규모로 그동안 오페라와 뮤지컬, 패션쇼, 영화 등을 선보였다. 동굴 벽에는 프로젝터 6대를 이용한 미디어파사드 쇼가 4분 남짓 펼쳐진다. 아름다운 빛의 향연이 감동적이다. 동굴아쿠아월드는 광명동굴의 암반수로 채운 아쿠아리움이다. 황금물고기(금룡), 피라냐, 문피시 등이 수조를 누빈다. 배 속이 훤히 비치는 글라스캣피시는 아이들에게 인기가 많다.

​동굴아쿠아월드와 황금폭포를 지나면 가파른 계단이 내려다보인다. 동굴 입구부터 이곳까지 0레벨이었다면, 이제 지하1레벨로 광산의 진면목을 볼 수 있다. 지하1레벨에서 만나는 신비의 용 ‘동굴의제왕’은 영화 ‘반지의 제왕’의 특수효과를 담당한 뉴질랜드 웨타워크숍이 제작한 용으로 길이 41m에 무게 800kg이다. 그 아래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골룸이 앉았고, 간달프의 지팡이가 빛을 발한다.

암반수로 가득한 동굴지하호수도 있는데 어둠 속에서 보는 호수 풍경이 인상적이다. 지하2레벨에 있는 동굴지하호수가 여기서 보이는 것이다. 이 암반수는 당시 광부들의 생명수로 지금은 동굴 내 황금폭포의 장관을 이루는 수원이자 동굴아쿠아리움의 물고기와 동굴식물원의 식물을 키우는 물이다. 먹는광부샘물을 지나면 다시 0레벨로 올라온다.

광명와인동굴의 입구

광명와인동굴은 와인 한 방울 나지 않는 지역에서 만나는 특별한 공간이다. 연중 12℃를 유지하는 동굴 내부는 와인 저장과 숙성에 최적이다. 이곳에 영동, 영천, 무주, 거창 등 국내에서 생산하는 다양한 와인을 전시·판매한다. 근대역사관은 일제강점기 광부들이 채굴하던 모습, 피란처로 사용한 한국전쟁 시기, 산업화 시대 모습을 실물 모형으로 전시한다.

아이를 동반한 가족이라면 광명동굴 아래 위치한 라스코전시관에 들르자. 2015~2016 한불 상호교류의 해를 맞아 열린 ‘라스코동굴벽화 국제순회 광명동굴전’을 계기로 현대건축의 거장 장 누벨이 설계한 건축물이다. 현재 광물전시체험관 ‘광명동굴 공룡탐험전’을 운영 중이다. 살아 움직이는 공룡세상을 목표로 애니매트로닉스 기술을 활용한 공룡 14점과 레프리카 공룡 16점이 라스코 전시관을 메워 감동과 경이로움을 선사한다. 실감시네마에서는 대형 입체영상을 통해 우주의 시작부터 현재까지의 생명의 탄생과 소멸, 진화의 과정을 보여주며 기후 위기 속에서 나와 우리의 관계를 생각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광명동굴의 산업유산인 선광장

라스코전시관 뒤쪽에 근대산업 유산인 선광장이 있다. 캐낸 광물을 선별하던 곳으로 콘크리트 시설물이 옛 모습 그대로 남았다. 선광장 경사면을 따라 난 계단을 오르면 동굴전망대 ‘스카이뷰’에 닿는다. 광명시자원회수시설의 높다란 굴뚝과 함께 탁 트인 서쪽 풍경이 아름답다. 전망대 인근에는 광산을 개발할 때 가장 먼저 뚫은 것으로 알려진 황금노두가 있다. 광명동굴 관람 시간은 오전 9시~오후 6시(월요일 휴관), 입장료는 성인 1만원, 청소년 5000원, 만 65세 이상 및 어린이 3000원이며 라스코전시관 공룡탐험전은 광명동굴 입장료와 통합권을 구매할 경우 성인 2만원, 청소년 1만5000원, 만 65세 이상 및 어린이 1만3000원이고 라스코전시관 공룡탐험전 단일권 구매시 나이에 상관없이 1만2000원이다.

광명동굴 전망대인 스카이 뷰에서 내려다 본 풍경

광명동굴 아래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가 있다. 업사이클(upcycle)은 재활용(recycle)에서 한 단계 진화해 버려진 물건에 예술적 가치를 더해 새로운 작품이나 상품으로 탄생시키는 것이다. 업사이클을 주제로 다양한 전시와 교육을 하는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에서 기획전 ‘쓸모 있는 업사이클’이 12월 31일까지 열린다. 이 전시는 쉽게 버려지는 제품이 또 다른 쓸모로 변모하도록 작가의 오랜 노동시간이 축적된 조형작업을 통해 유쾌한 작품들로 구성돼 있다.

도덕산출렁다리는 경남 거창 우두산에 이어 국내에서 두 번째이자 수도권 최초로 개통한 ‘Y 자형’ 출렁다리다. 총 길이 100.5m, 성인(70kg 기준) 640명이 동시에 통행할 수 있다. 출발점은 도덕산공원으로, 오르막길이지만 10분 남짓이면 도착해 산책 삼아 다녀오기 좋다.

글·사진: 문일식(여행작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한민국구석구석(korean.visitkore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