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4회 국제환경장비 및 자원순환산업전···'폐기물 자원순환' 주제 다양한 컨퍼런스 개최

퇴비 활용, 공급과잉 및 수급 불균형 초래
아프리카돼지열병‧동물복지 차원에서 사료제한 강화

제14회 국제환경장비 및 자원순환산업전이 24~26일까지 경기 고양시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렸다. <사진제공=RETECH>
[아파트관리신문=조혜정 기자] 제14회 국제환경장비 및 자원순환산업전(이하 RETECH)이 24~26일까지 경기 고양시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렸다.

RETECH 국제자원순환산업전 조직위원회와 광륭이 주최·주관하고 환경부, 서울시, 경기도가 후원한 이번 전시는 ‘탄소중립 이행’과 ‘순환경제 구축’의 근간인 ‘폐기물 자원순환’을 테마로 개최됐다.

전시회 일정 중 25일 오후 2시 킨텍스 세미나실에서 한국음식물RFID종량기협회, 한국자원순환연합회, 한국열환경공학회, 녹색음식물자원화기기협회 등의 주최로 ‘2021 음식폐기물 자원순환 컨퍼런스’가 진행됐다.

우리나라 음식폐기물 발생량은 1일 1600여톤, 연간 약 500만톤 수준으로 생활쓰레기 발생량의 약 30%를 차지한다. 음식폐기물 중 약 80%에 해당하는 수분과 2%의 이물질을 제외한 부산물 18%를 재활용하기 위해 연간 약 1조원의 처리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음식폐기물 정책은 1995년 직매립을 제한하고 분리배출을 도입하면서 시작됐다. 이전까지는 음식폐기물이 매립장 악취와 침출수를 유발하는 주범이었지만 직매립 제한 이후에는 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부각되며 사료나 퇴비의 원료가 되고 농가 소득에 보탬이 된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최근에는 바이오가스와 같은 에너지원으로도 재활용이 가능해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을 주목받았다.

환경부 홍동곤 자원순환국장이 25일 열린 ‘2021 음식폐기물 자원순환 컨퍼런스’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고양=조혜정 기자>

이날 컨퍼런스에 참석한 환경부 홍동곤 자원순환국장은 축사를 통해 “최근 음식폐기물의 퇴비화에 대한 의문이 생겨나는 것이 사실”이라면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까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사료화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는 실상”이라고 말했다.

홍동곤 국장은 음식폐기물 처리방법의 대안으로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바이오가스’를 언급하며 “최근 국회에서 ‘유기농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의 생산 및 이용촉진법’이 발의되는 등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면서 “RFID라는 첨단 방법이 동원돼 음식폐기물의 배출량을 줄이는데 큰 효과를 거뒀듯이, 검증된 정책을 발전·확대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음식폐기물 활용 바이오가스화 확대

이날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환경부 폐자원에너지과 김종민 사무관은 “음식폐기물을 퇴비로 활용하는 것은 공급과잉의 수급 불균형이 지속되며 ASF 여파 및 동물복지 차원에서도 음식물 사료제한이 강화되고 있어 최종적으로 바이오가스화 정책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음식물폐기물 관리정책 방향’을 주제로 발표한 김종민 사무관은 음식폐기물 정책방향은 ▲바이오가스화 지향 등 점진적 변화 ▲효과가 검증된 레거시 정책 발전·확대 ▲ESG 경영 등 새로운 트렌드에 따른 신기술 도입으로 정리하며, “바이오가스화는 간헐성의 약점이 없고 수소전환 강점이 안정된다”면서 “2022년 환경부 예산안 중 ‘폐자원 활용 에너지 전환 실증 기술개발 사업(R&D 신규)’을 기획 추진중에 있다”고 소개했다.

‘효과가 검증된 레거시 정책’에 대해선 “감량효과 80~90%를 보이고 있는 가정용 감량기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지자체의 감량기 구입비 지원을 독려할 것”이라면서 “음식폐기물의 주체는 시민이기에 시민사회 단체와 협업해 음식폐기물 줄이기 홍보 활동 등을 꾸준히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이어서 서울시 이재용 음식폐기물관리팀장이 ‘음식물류폐기물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주요 과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재용 팀장은 2014년 대비 2019년 기준 음식폐기물 배출량은 일평균 2827톤으로 354톤 감량했으며 그중 가정에서 배출되는 양은 1512톤으로 전체 음식물폐기물의 53.5%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치적으로 음식폐기물 배출이 줄어든 것은 맞지만 최근 2년 사이 1인 가구 증가, 식생활 고급화와 코로나19로 인한 배달음식 소비 증가 등의 생활패턴 변화는 음식폐기물 발생량 증가의 잠재적 요인”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에서 배출되는 음식폐기물 중 서울시 공공처리시설에서 40%, 나머지 60%는 경기·인천·충청 소재 민간시설에 위탁 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팀장은 “서울시 공공처리시설 다섯 곳 중 난지 음식물류폐기물자원화시설은 시설개보수 중 발생한 민원에 의해 가동 중단 상태”라면서 “나머지 4곳 중 송파 자원화시설에서 가장 많은 양을 소화하고 있으나 4곳도 지속적인 민원 발생으로 100% 가동이 어려운 실정”이라면서 시설 확충 및 가동률 제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