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공동주택 주민 화재 대응역량 평가요소에 대한 인지도 조사’

조선대 최성경 씨 등 논문서 주장

[아파트관리신문=고경희 기자] 공동주택 내 재난 대응을 위해 주민들의 안전의식과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제도 및 안전교육 프로그램이 우선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조선대학교 최성경 씨와 문정민 교수는 최근 한국주거학회 논문집에 게재된 ‘공동주택 주민 화재 대응역량 평가요소에 대한 인지도 조사’라는 제목의 논문을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최 씨 등은 논문에서 “국민 대다수가 거주하고 있는 공동주택에서 매년 발생해 엄청난 경제적 손실과 사상자를 발생시키는 화재에 대응하기 위한 주민의 안전역량을 평가하는 요소를 도출해 주민의 인지도를 조사하고자 한다”고 연구 취지를 밝혔다.

주민을 대상으로 한 화재 대응 역량 평가 요소별 인지도 설문조사 결과 공동주택 주민의 화재 대응역량 평가 요소별 인지도는 물리적 대응 요소, 인적 대응 요소, 제도적 대응 요소 순으로 제도적 대응 요소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물리적 대응 요소는 소방시설 설치, 대피경로 확보로 인지·반응 및 대피단계를 보통이상의 점수를 줬고 복구단계의 물리적 회복력에 대해 가장 낮은 점수를 줬다. 단계별 응답은 인지 및 반응 단계에 경보기 혹은 비상방송설비 설치 유무에 대한 항목에서는 긍정적인 응답 비율이 약 45%로 높았으나, 막상 소방시설을 활용해야 하는 대피단계에서는 정확한 사용법을 몰라 긍정적인 응답의 비율이 떨어졌고 복구 단계에서는 부정적인 응답이 43%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제도적 대응 요소에 관한 항목에서는 인지단계에서 원활한 비상방송에 관한 항목에 가장 높게 응답했고 나머지 요소에 관한 정보의 교류·안내 및 각 이해관계의 역할에 대한 인식부분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화재를 대응하기 위한 단계별 대응 규칙과 매뉴얼, 각 이해관계자의 역할에 대한 정보를 안내받은 적이 없다는 부정적 응답이 약 44%로 높게 나타났다.

인적 대응 요소 항목에서는 대피단계에서 소화기·소화전 등 소화기구의 사용이 가장 높게 측정됐고 피난안내도 이해, 대피경로별 피난기구를 활용한 탈출시도, 개인용·가족용 대피 안전도구 보유 항목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긍정적으로 응답한 각 항목에서도 일부 소방시설(소화기, 대피계단)과 개인용 안전장비(손전등, 젖은 수건) 사용에만 주민 대응력이 편중돼 있었고 이웃과의 소통·협력 방법, 위급 상황 시 신체적 대응능력, 안전규칙과 계획의 확보 부분에서는 주민들이 느끼는 안전의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그룹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소방시설 사용에 긍정적인 점수를 준 주민들도 막상 대응·대피·복구 단계에 따른 소방시설의 구체적인 사용법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지 못했다. 공동주택 안전관리 책임을 상당 부분 관리자와 소방전문가에게 의지하고 있으면서도 이들과의 정보교류 및 협력, 각자의 역할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위급상황 발생 시 안전정보 교류 및 협력 활동이 원활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었다.

최 씨 등은 “공동주택에서 안전하고 신속한 재난 화재 대응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주민들의 안전의식과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이 우선 돼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물리적 대응 요소는 준공연도에 따라 설치돼 있는 소방안전시설이 상이하고 제도적 요소에서는 대부분의 공동주택이 안전시설 개선이 의무사항이 아닌 상황에서 주민과 관리자가 적극적으로 관심을 갖고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지 않는 이상 개선이 어려운 실정이며, 노후 공동주택은 공용공간의 안전 및 소방시설이 설치돼 있지 않은 경우가 많고 주민 개인이 안전을 관리·책임지는 것에 한계가 있어 안전관리 지원과 안전교육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공동주택의 지역적·공간적 특성과 주민의 특성에 맞는 안전 교육과 훈련, 소통 ▲안전 의식과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육 및 훈련 ▲다양한 안전요소 및 안전 상태에 대한 정보 공유로 물리적 시설과 관리자들에 대한 신뢰 형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