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공동주택 규모는 수 십 년 새 몰라보게 커졌다. 공동주택의 비율은 전체 주택의 75%를 넘었다. 이렇게 아파트 등 공동주택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공동주택 관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의 전문성에 대한 국민들의 바람이 어느 때보다 크다. 기대 수준도 높아지고 있고, 관리 서비스 품질에 대한 요구도 다양하다.

우리나라에서 주택관리업이 시작된 지 40년이 넘었다. 공동주택 관리와 제도는 관리회사들에 의해 시작됐다. 공동주택 관리의 역사는 그동안 관리회사들의 발전과 궤를 같이 한다.

1960~70년대 아파트가 건설되고 관리회사들이 관리를 전담하게 되고, 회사들이 늘어나면서 주택관리업협회가 만들어졌다. 이후 주택관리사 제도가 채택되고, 관련 단체들이 결성됐다.

그동안 국내 각 산업 분야의 성장은 그야말로 눈부셨다. 엄청난 성장 속에 주택관리업도 산업의 한 부분으로 당당히 자리 잡았다. 의무대상 공동주택 관리비의 규모만 해도 연 20조원에 이른다.

그런데 외형에 비해 공동주택 관리산업·문화의 발전은 더디기만 했다. 왜 그럴까. 가장 큰 이유는 관리업체의 영세성으로 인한 전문기술 축적 부진과 차별성 부족이다. 갈수록 전문적이고 세분화, 복잡화, 분업화 속에 많은 아파트가 위탁관리를 택하고 있다. 그런데 위탁관리가 차지하는 비중만큼 관리회사가 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감히 말할 수는 없을 거 같다.

덧붙여 상황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상징이 위탁관리수수료다. 가팔랐던 물가상승률에도 불구하고 관리수익으로 대변되는 위탁관리수수료는 40년 전보다도 크게 줄었다. 발전은 고사하고 역행을 했다. 발목 잡는 제도와 수익성·전문성 부진이라는 악순환의 반복 속에 무분별한 저가 경쟁이 판을 치고 업계가 산업적으로 본격적인 성장을 못 한 것이다. 작금의 관리분야는 한 마디로 총체적인 어려움 속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시련을 딛고 앞으로 나가야 할 중심에 한국주택관리협회가 있다. 한국주택관리협회는 대한주택관리사협회와 함께 30년 넘게 관리주체를 대변하는 쌍두마차다. 이들 협회가 관리분야의 구심점이다.

특히 한주협은 관리회사들의 중심으로, 업계를 다독이고 관리문화를 이끌어야 한다. 관리업계의 어렵고, 진솔한 목소리가 정책에 잘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 협회들 간의 유기적 협조 속에 관리문화의 선진화와 함께 법제도의 개선을 앞장서서 해결해야 한다.

그렇지만 한주협의 고민은 깊다. 회원사의 단합은 물론 불합리한 관련 법규와 제도의 개선, 대외 홍보 강화 등 꾸준히 추진했지만 해결은 더디기만 하다. 오랜 숙원이었던 협회의 법정단체화도 지지부진이다. 공동주택관리법의 개정과 사업자 선정지침 개선 등 어려운 문제들을 함께 풀어야 하지만 어느 것 하나 쉽지 않다.

한국주택관리협회와 아파트관리신문은 지난달 27일 한주협 회의실에서 본지와 한주협 간 ‘공동주택 관리문화 선진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위에 열거한 어려움을 차근차근 풀기 위해 함께 보조를 맞추기로 했다. 업무협약이 그 출발이 되길 바란다. 아무쪼록 공동주택 관리의 발전과 선진화를 위한 양 기관의 상생 협조 관계가 결실을 봤으면 좋겠다. 갈 길이 멀지만 머리를 맞대, 어려움을 이겨내야 한다.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