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로 인한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는 인류에게 심각한 위협이다. 음식물쓰레기도 우리나라만이 아닌, 전 세계적인 골칫거리이며 현안이다.

UN세계식량계획(WFP)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음식물의 양은 40억톤에 달하며, 이 중 인구 20억명을 먹일 수 있는 13억톤이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다. 또 다른 분석 기관은 2030년에 전 세계적으로 20여억톤의 음식물쓰레기 배출이 예상된다는 보고서를 내기도 했다. 기아문제로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들을 생각하면 과다 배출인 동시에 엄청난 불균형·불평등이다.

음식물쓰레기는 해양오염과도 연관이 있다. 쌓이는 폐기물을 무단으로 해양에 투기하자 많은 나라들이 해양오염을 막고자 국제협약을 맺고 폐기물의 해양투기를 금했다. 우리나라도 이 런던협약에 가입했고, 관련 사항 준수를 국제사회에 약속했다.

2010년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는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종합대책’을 범정부차원에서 발표했다. 단순한 환경문제만이 아니라 에너지, 경제, 사회·문화적 이슈를 종합 검토한 대책이다. 이 일환으로 환경부는 ‘음식물류 폐기물 배출 및 수수료 등 종량제 시행지침’을 제정했다.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종합대책의 하나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 도입’이다.

무선인식 기반의 RFID 음식물쓰레기 관리시스템은 음식물쓰레기 총량을 줄이는 동시에 쓰레기 처리 비용 감축이 목적이었다. RFID 종량기는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면 전자태그에 의해 배출량이 자동으로 측정된다. 무게만큼 수수료를 부과하고, 그 결과를 전산에 기록해 전송하는 장비다. 배출량만큼만 수수료를 부과해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데다 음식물 종량제 비닐봉투를 따로 구입하는 불편함도 없다.

이 RFID 음식물쓰레기 종량기가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 도입된 지 10년이 됐다. 얼마나 달라졌을까.

2010년과 2011년 시범사업을 거친 후 2012년 환경부가 ‘종량제 시행지침’을 개정하면서 종량제 방식에서 우선 순위로 권장되고 있다. 2015년부터는 지방자치단체 사업으로 전환됐고, 지자체들은 음식물쓰레기 줄이기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각 지자체가 제정한 폐기물 관리 조례에 따라 필요한 지역에 RFID 종량기가 설치, 확대됐다. 지자체마다 음식물쓰레기 감량을 위한 경진대회를 하기도 하고, 감량 우수 공동주택을 선발해 시상도 하고 있다.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올 8월 현재 모두 158개의 지자체가 RFID시스템에 등록했다. 587만 세대가 등록했으며, 설치된 RFID 장비 수만도 9만6005대에 이른다. 전국 공동주택의 52%에 해당한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RFID 종량기 설치사업을 시행한 지자체는 음식물류 폐기물 배출량 감소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20%에서 많게는 60%까지 효과를 보고 있다. 평균 35% 정도 감축 효과가 있다. 전문가들은 감량효과 면에서 RFID 종량기가 가장 우수하고 도시환경 미관과 사용자 만족도 역시 우수한 편이라고 말한다. 입주민들도 눈앞에서 음식물쓰레기 비용이 차감되다 보니 가급적 음식물쓰레기를 만들지 않으려고 애쓴다. 해마다 RFID 종량기가 늘어감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증가세 역시 둔화되는 추세다. 바람직하다.

하나뿐인 지구다. 지구에 폐 안 끼치는 생활이 필요할 때다. 아울러 음식물쓰레기를 적게 배출하는 것이 애국이다.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