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은 ‘통계의 날’이다.
부쩍 ‘통계’라는 단어가 각 언론과 사람들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비정치적이라고 생각되고 있는 세간의 인식과 달리 얼마 전에는 통계청장 교체를 놓고도 정치권을 중심으로 말들이 많았다. 통계의 역할이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의사결정 과정에서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다는 뜻일 것이다.

미디어에는 4차 산업을 맞이하며 빅데이터 분석과 관련된 내용들이 자주 나오고 있다. 빅데이터를 이용하고 체계화하는 방법은 더욱 다양해졌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통계’다.

통계라는 명칭이 생기기 전부터 우리 선조들은 수치의 기록성을 중하게 여기고 활용해왔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이런 내용들이 잘 남아 있다. 세금, 공역 등에 활용하고 과학적으로 운용했다는 기록들이다.

통계를 말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인구주택총조사’다. 통상적으로 인구주택총조사는 특정한 시점에 한 국가 또는 일정한 지역의 모든 사람, 가구, 거처와 관련된 인구·경제·사회학적 자료를 수집, 평가, 분석, 제공하는 전 과정을 말한다.

인구주택총조사는 우리나라의 모든 사람과 주택의 규모, 그리고 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국가기본 통계조사다. 나라살림의 바탕이 되는 모든 사회분야 통계의 기준통계다. 사회·경제적 변화를 진단하고 과학적인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필수적이며, 국가기관, 기업, 학술단체 및 일반 대중의 정책입안, 계획수립, 연구 및 평가 등을 포함한 각종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사실 인구조사의 기원은 아주 오래됐다. 동서양 모두 5000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다. 가장 오래된 것으로 기원전 3600년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에 기원을 두고 있다. 비슷한 시기 이집트에서는 피라미드 건설을 위해 실시했던 기록이 있다고 한다. 중국에서도 토지분배 및 과세를 목적으로 인구조사를 실시했다.

우리나라 역시 삼한시대부터 시작됐으며 신라시대에는 ‘민정문서’가 발견돼 정교한 인구조사가 있었음이 확인됐다. 고려, 조선시대에는 소위 ‘호구조사’라는 명칭으로 실시돼 왔다. 구한말 1896년 9월 1일에는 우리나라 근대통계의 시발점으로 평가되는 ‘호구조사규칙’이 시행됐다. 우리는 이 날을 기려 ‘통계의 날’로 정하고 기념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근대적인 인구총조사는 1925년에 처음 실시된 후 매 5년마다 실시돼 왔다. 주택에 관한 조사가 함께 시행된 것은 1960년 8회 총조사부터다. 현재 2015년 19회 총조사까지 진행됐으며 다음 2020년 20회 총조사가 예정돼 있다. 이 사이에 2015년부터는 행정자료를 활용 집계한 등록센서스 방식으로 매년 총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마침 지난달 27일 통계청이 ‘2017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국의 주택 수는 1712만호가 넘었다. 이 가운데 아파트, 연립·다세대주택을 포함한 공동주택의 비중이 75%를 넘었다. 아파트의 수는 전체의 60.6%인 1038만호에 이른다. 공동주택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이중 절반 가까이가 서울 등 수도권에 분포돼 있다. 또한 20년 이상의 아파트는 전체의 37.5%인 388만호가 넘는다.

공동주택에는 이렇게 많은 국민들이 거주하고 있다. 이를 관리하는 역할은 더없이 막중하다. 공동주택 관리 분야의 산업적·선진적 발전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중요한 까닭이다.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