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법 일부개정안’ 김삼화 의원 대표발의

국민의당 김삼화 의원

[아파트관리신문=서지영 기자] 이혼 전 별거, 가출 등으로 배우자의 노령연금 수급권의 형성에 기여가 없었던 부분에 대해서는 분할연금의 청구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국민의당 김삼화 의원은 이같은 내용의 ‘국민연금법 일부개정안’을 14일 대표발의했다.

개정안은 분할연금액을 배우자였던 자의 노령연금액 중 표면적 혼인 기간이 아닌, 혼인관계가 실제로 존속하고 있었던 기간에 해당하는 연금액을 나눈 금액으로 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분할연금을 청구하려는 경우, 배우자였던 이와 미리 혼인관계가 실제로 존속하고 있었던 기간, 분할비율, 그 밖에 연금의 분할에 관한 사항을 협의하도록 했다.

협의가 이뤄지지 않거나 협의를 할 수 없는 때에는 민법 제839조의2 또는 제843조에 따라 가정법원에 연금의 분할을 청구하도록 했다.

김삼화 의원에 따르면 현행법은 배우자의 국민연금가입기간 중의 혼인기간이 5년 이상이었을 것, 배우자와 이혼하였을 것, 배우자였던 사람이 노령연금 수급권자일 것, 60세가 되었을 것이라는 네 가지 요건만 갖추면 일률적으로 배우자였던 자의 노령연금액 중 혼인기간에 해당하는 연금액을 균등하게 나눈 분할연금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지난해 12월 29일 헌법재판소는 분할연금을 산정함에 있어 법률혼 관계에 있었던 기간 중 별거나 가출 등으로 실질적인 혼인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던 기간을 일률적으로 혼인기간에 포함시키도록 하고 있는 현행규정은 혼인 중 쌍방의 노력으로 형성된 공동재산의 분배라는 분할연금제도의 재산권적 성격을 몰각하고 있다는 이유로 헌법불합치결정을 내는 한편, 2018년 6월 30일까지 개선입법을 마련하도록 촉구한 바 있다.

이에 김삼화 의원은 “헌법재판소가 요구한 바와 같이 이혼성립 전에 이미 실질적인 혼인관계가 해소되어 분할연금의 기초가 되는 노령연금 수급권의 형성에 아무런 기여가 없었던 부분에 대해서는 분할연금의 청구가 불가능하도록 법률에 명시하고, 분할연금 청구를 위해서는 혼인관계가 실제로 존속하고 있었던 기간이나 분할비율 등에 관한 사항을 미리 협의하도록 하며, 협의가 되지 않거나 협의할 수 없을 때에는 가정법원에 대한 재산분할청구를 통해 분할연금액을 결정하도록 해 현행법의 위헌성을 제거하려는 것”이라고 제안이유를 밝혔다.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