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는 철인과 같다.
하루종일 쉴 새 없이 움직인다. 다른 설비에 비해 상당히 악조건에서 운행하는 셈이다. 그러므로 많은 관심과 주의를 기울여서 관리해야 한다.

우리나라에 승강기가 첫 선을 보인 건 일제 강점기인 1910년 조선은행에 설치된 화폐운반용 승강기다. 지금은 설치된 승강기가 57만대를 훌쩍 넘었다. 보유대수, 신규설치 모두 ‘승강기 강국’이다.

그런데 ‘안전과 관리’를 생각하면 이름에 걸맞지 않다. 특히, 근래 들어 잦은 승강기 사고로 인해 원성이 잦다. 승강기 고장으로 인해 30분 정도 갇혀 있다가 구조된 경우가 연간 1만~2만 건 정도 된다고 한다.

사고시의 대처 미숙과 민원은 관리사무소의 골칫거리다. 이 부분에 민원이 쏟아진다. 승강기 운용 관련 매뉴얼을 치밀하게 만든 후, 업무 관련자들이 숙지하고 대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승강기 안전은 사고발생 이전에 ‘유지관리’가 핵심이다. 유지관리는 일상관리, 정기점검, 예방정비, 수리 등의 모든 행위를 말한다. 통상적으로 정기점검, 예방정비, 수리는 유지관리업체에서 하고 일상점검 및 관리는 건물의 관리주체 또는 안전관리자가 담당한다. 법적으로는 정기검사, 자체점검, 안전관리자 선임 등을 필수요건으로 규정했다. 처음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는 완성검사를 받아야 하고 완성검사 후 1년이 지날 때마다 정기검사를 받게 된다. 또한 매월 자체점검을 하고 그 기록을 남겨놓아야 한다.

유지 보수를 위해 별도로 위탁을 주지만 국내에는 관련 업체가 약 800개에 이르고 대부분 영세하다보니 기술과 인력에 대한 투자가 미흡할 수밖에 없다. 무조건 낮은 가격을 선택하기보다는 기술력과 함께 긴급출동시간, 서비스 등 계약조건을 잘 살펴야 한다. 비용 때문에 선택한 유지관리 품질저하가 ‘안전’을 위협한다.

정책 당국의 역할은 정말 중요하다. 마침 한국승강기안전공단이 이달부터 경남 진주시의 새 청사에서 출범식을 갖고 공식 업무에 들어갔다. 한국승강기안전공단은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과 한국승강기안전기술원이 별개의 검사기관으로 운영돼 오다가 세월호 참사 이후인 지난해 8월 승강기시설 안전관리법 개정으로 통합돼 승강기 안전을 종합적으로 전담하는 기관으로 새롭게 출범하게 됐다.

국민안전처는 승강기안전공단 출범을 계기로 2020년까지 승강기 1만대 당 사고 건수를 30% 줄이는 목표를 세웠다. 그리고 종합적인 안전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방침을 밝혔다. 공단의 출범으로 인해 종합적인 안전관리가 가능하게 됐다는 것이다.

승강기안전공단은 공단 출범에 맞춰 검사 신뢰성을 확보하고, 대국민 서비스 개선의지를 표명하기 위해 확인검사 수수료를 이달 1일 검사분부터 2018년 6월까지 2년간 한시적으로 면제키로 했다.

그렇지만 승강기안전공단은 그저 검사만 잘하면 되는 기관이 아니다.
검사는 당연한 것이고 더 중요한 것은 모든 승강기 관련 분야의 종사자와 기관·단체들과 서로 소통하고 교류하게 하는 일이다. 승강기 안전의 실질적 컨트롤타워 역할을 제대로 해야 한다. 승강기 안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는 환경과 분위기 조성에 앞장서야 한다. 지난해 경영평가 성적이 좋지 못한 두 기관의 통합이 우려를 씻고 시너지를 발휘하길 기대한다.

사고 건수는 저절로 줄지 않는다. ‘안전’ 이름이 들어간 한국승강기안전공단이 제 역할을 할지 지켜볼 일이다.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