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9년의 공동주택관리령의 개정내용에는 관리소장의 안전교육 및 안전점검 실시의무 및 장기수선충당금사용 절차가 강화됐다.
따라서 1990년대 이후의 관리업무는 시설물 안전관리 뿐만 아니라 행정사무, 회계업무 및 입주자관리업무까지 확대됐다(Eun, 2004).
지난 2003년 주택법이 제정되면서 기존 공동주택관리령에서 규정하고 있던 주요사항들을 법률에서 직접 규정하게 됐으며 리모델링에 따른 특례, 안전관리와 안전점검, 공동주택관리 분쟁조정위원회 등의 업무내용까지 확대됐다.
한편 주택법은 관리제도를 강조하고 기존주택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리모델링 지원 근거조항을 신설하면서 주택의 행정관리, 청소, 경비 관리비 등 유지관리와 운영관리 부문의 효과적인 관리체계를 강화했다.
그러나 시대가 변화하면서 현재 주택관리의 최대 관심사인 입주자의 분쟁해결 등 세대관리 및 생활관리 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Ⅲ. 연구방법
1. 분석자료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80년도에서 현재까지의 선행연구 총 27편에서 다뤄진 공동주택관리업무의 유형과 하위범주 항목으로 구성했다.
분석은 엑셀프로그램을 사용해 자료를 입력한 후 결과를 도출했다.
2.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에 의한 내용분석과 전문관리인 의견조사로 나눠 진행했다.
1) 문헌을 통한 내용분석
관리업무 유형과 하위범주 항목의 추출은 문헌연구를 통해 내용분석을 실시했다.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 단위는 관리업무를 구분하는 유형의 단어로 가장 작은 단위를 이용했다.
프로그램은 Park and Ley des dorff(2004)의 한국어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해 전통적인 방법에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했다. 그리고 누락된 항목의 단어를 없애기 위해서 선행으로 연구된 모든 관리업무 항목을 입력했다.
핵심어는 자료로 입력된 관리업무 유형과 하위범주 항목이 자주 출현하는 항목의 단어로서 조작적으로 정의된다.
분석 대상이 되는 각 항목이 몇 번 사용됐는지를 계산하는 단어빈도분석을 수행한다.
결과 파일은 출현 빈도가 높은 항목의 단어순으로 목록이 정리됐다.
본 연구의 출현빈도는 어떤 항목의 단어들이 현저하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추론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 유용한 1차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데이터의 정체과정은 자동으로 처리하지 못하므로 연구자의 전문적 판단에 따라 수정됐다.
이 과정에서는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이 과도하게 개입되지 않도록 주의했다.
(1) 관리업무 유형 도출
관리업무를 유형화하기 위해 관리업무의 유형 도출과정을 3회의 절차에 따라 진행했다.
1차에서는 선행연구 27편에 나타난 유형의 항목을 기술해 나타난 결과 전체 88개의 항목으로 나타냈다.
2차에서는 전체 88개의 항목에서 동일한 관리업무 항목을 한 개의 항목으로 단순화 작업한 결과, 25개의 유형 항목으로 축소됐다.
3차에서는 연대별 출현빈도를 이용한 계량화 체계방식으로 정리해 7개의 유형 항목으로 도출했다.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