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관리 효율성 제고 위해 전산업무 표준화 시급

21세기를 정보화시대라고 말하고 있는데 주거비율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공동주택이 그 중심에 자리잡고 있다.
최근 신축아파트를 주축으로 ‘홈네트워크’나 ‘디지털홈’의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발맞춰 첨단 전산시스템 운영의 중요성도 점차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아파트 등으로 대변되는 공동주택의 전산시스템은 표준화되지 않는 회계계정, 전산담당 인력 부족, 전산업체의 영세성, 아파트 전산시스템에 대한 연구 부재 등으로 인해 낙후돼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국내 아파트 전산시스템의 현주소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발전 과제를 모색해 본다.

- 관리업무 전산화의 현주소

현재 아파트의 전산시스템은 종이고지서로 대표되는 관리비 부과내역서의 출력과 인사, 행정 등 사무용 업무에 국한돼 있으며, 아직까지 시설물의 유지관리 등의 분야에는 전산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지 못하다.
또 아파트마다 표준화되지 않은 전산프로그램을 제각각 운영하다 보니 전체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 관리업무의 전산화가 요원한 상황이다.
전산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아파트에는 전산프로그램이 무료로 공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비용은 전적으로 관리비 부과내역서 등에 게재되는 광고 등을 통해 메워나가고 있다.”며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 등 관리업무 전반에 대해 지원 가능한 소프트웨어의 개발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서울지역 한 아파트의 관리소장은 “관리업체마다 전산프로그램을 공급받는 업체가 다르다 보니 관리업체가 바뀌면 새로운 전산프로그램에 대해 적응하는 시간이 상당기간 걸린다.”며 “아파트 회계계정만이라도 표준화가 이뤄진다면 관리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전산 관련 전문가들은 관리비용 상승 등을 이유로 한 전산시스템에 대한 투자 미비, 관리소의 전산담당인력 부족 등도 향후 개선돼야 할 사항으로 지적하고 있다.

- 전산업체의 영세성

아파트에 전산시스템을 공급하는 전산업체도 장기간 경기침체 등으로 인해 영세성을 면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도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전산업계에 따르면 아파트 등을 대상으로 전산프로그램을 공급하고 있는 전국의 전산업체수는 40여개로 이중 30여개 업체가 수도권지역에 밀집돼 있다.
또 이들 전산업체 중 자체개발한 OA용 전산프로그램을 아파트 관리소에 공급하는 업체는 1/4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다.
업계에 따르면 PC환경의 프로그램인 기존 CS(Client Server) 서비스 모델의 개발비용은 1~2억 정도이며, 인터넷을 활용한 웹기반의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서비스 모델은 개발비용만 12억~20억 정도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이처럼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다 보니 대다수 업체에서는 아파트의 관리업무에 필요한 전산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을 포기한 채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권만을 구입해 아파트에 무상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수익은 관리비 부과내역서에 게재한 광고와 기타 부대사업 등을 통해 충당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장기간 경기침체를 겪으며 관리비 부과내역서에 광고를 게재해 수익을 내던 과거의 방식이 통하지 않게 돼 업체의 재무구조는 점차 열악해 지고 있다.
이에 (사)한국공동주택관리전산협의회 김재희 회장은 “현재 업계의 상황은 응급실에 입원해 있는 환자에 비유될 수 있다.”며 “업계의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기형적으로 형성된 아파트 전산시스템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정품 소프트웨어의 사용, 전산비용의 유료화가 필연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아파트에서는 전산업체들의 이같은 주장을 업체간 담합으로 인식하는 면이 없지 않아 향후 양측간에 상당한 갈등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정부차원의 대책은 있는가

아파트 전산시스템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고 회계계정의 표준화를 이루기 위한 정부차원의 움직임은 아직까지 초기 단계에 있다.
행정자치부는 (사)한국가정생활개선진흥회에 의뢰해 지난 99년부터 2001년까지 3년여에 걸쳐 추진된 ‘아파트 관리비 부과내역서 표준화 사업’을 지원했다.
아파트 난방방식별로 관리비의 구성항목의 세부내용을 정리한 이 사업에서 행자부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지 못했고, 이 사업의 결과물을 토대로 부산지역에서 처음 전개됐던 ‘전국 아파트 관리비 표준화 운동’도 결실을 맺지 못한 채 사그러들고 말았다.
건설교통부에서도 지난해 산·학·연 연구과제로 웹기반의 공동주택 유지관리 시스템의 개발을 지원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건축설계 및 유지관리 소프트웨어 업체인 (주)아키프로넷은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경희대학교 건축공학팀 등과 함께 개발한 ‘AptManager’를 이르면 오는 3월경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하지만 총 7억여원의 연구비용이 투입된 ‘AptManager’가 실제로 아파트에 보급돼 실용화될지에 대해서는 아직 단언하기 이르다.

- 전산업무의 표준화 시급

아파트 관리주체와 전산업체 관계자들은 향후 아파트에 첨단 전산시스템이 도입되기 위해서는 전산업무의 표준화부터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국아파트관리연구소 진승한 소장은 “아파트에서 회계, 인사, 행정, 시설관리업무 등을 통합한 전산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전산양식의 정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정부나 시민단체 등에서 진행하는 관리업무 전산화 작업에 아파트 관리소장 등 전문가들이 참여해 아파트 현장에 맞는 표준화된 시스템 개발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파트 전산업무의 표준화를 위한 전산업체의 움직임도 부산하다.
23개 전산업체로 구성된 (사)한국공동주택관리전산협의회는 올해 사업계획으로 △서비스 표준 R&D를 위한 워크숍 △공동주택 관리전산 표준화 세미나 △관리소 경리직원 대상 정기 교육사업 실시 등을 추진하는 등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